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과거시제와 현재완료시제 차이와 현재완료시제 사용 이유

by 입시프로 2024. 5. 21.
반응형

과거시제 문장과 현재완료시제 문장은 전혀 다른 문장입니다. 

 

과거시제는 지나간 시간에 발생한 어떤 일을 말하는 것인데 그것은 과거의 어느 한 순간이 될 수도 있고 과거의 어느 한 시기가 될 수도 있습니다. 보통 과거를 나타내는 단어와 많이 사용합니다. 

 

yesterday, last night, last year, when I was a teacher

 

어제는 24시간이라는 시간이고 지난 밤(last night)은 어제보다는 조금 짧은 기간이고 지난 해는 1년이란 기간으로 길지만 이 단어들의 공통점은 이미 지나간 시간이라는 것이죠.

 

그런데 현재완료시제는 위에 설명한 과거시제 + 현재시제 개념으로 우리말에는 없는 시제이기 때문에 조금 혼동 될 수도 있는데 개념만 정확하게 파악하면, 결코 어려울 수 없는 문장임을 알게 됩니다. 

 

 

목차
과거시제
현재완료시제
현재완료시제 사용 이유

 

 

 

 

 

 

 

과거시제 문장과 현재완료시제 문장을 비교해서 정확한 차이를 봅시다. 

 

 

 

과거시제

 

나는 핸드폰을 잃어버렸다. 

 

I lost my mobile phone.

 

과거문장입니다.

 

시제의 기준은 동사이죠. lost는 lose - lost - lost입니다. 문장에 동사가 lost가 쓰여있으므로 잃어버렸다로 과거문장임을 알게 됩니다. 

 

만약에 지금 친구가 이렇게 말을 하면 우리는 어떻게 생각하게 될까요?

 

친구 : 나 핸드폰 잃어버렸다. 

 

우리는 어디서 잃어버렸니? 언제 잃어버렸니? 새 거 살거니? 등등 여러가지 질문을 할 수 있는데 한가지 기본적으로 우리 마음에 있는 것은 이 친구가 이 말을 하고 있는 지금 핸드폰을 잃어버려서 지금 핸드폰이 없다고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영어에서 핸드폰을 잃어버렸다는 표현은 단지 과거 사실만 표현하는 것이지 현재 상태는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영어에서는 '나 핸드폰 잃어버렸다'인 'I lost my mobile phone.'은 핸드폰을 잃어 버린 과거 사실만 가리키는 것이지 그래서 지금 없다는 것인지, 그 다음에 찾았다는 것인지 알려 주는 것이 전혀 없습니다. 

 

이것이 우리말이 나타내는 과거시제와 영어가 나타내는 과거시제의 차이입니다.

 

 

 

현재완료시제

 

영어에서는 과거 사실 + 현재 상황을 나타내는 시제가 현재완료시제입니다. 

 

나는 핸드폰을 잃어버렸다 + 나는 지금 핸드폰이 없다.

 

= 나는 핸드폰을 잃어버려서 지금 가지고 있지 않다. 

 

현재완료시제는 have + 과거분사 형태로 표시 합니다. 

 

I have lost my mobile phone.

 

이 문장에서 have lost는 현재완료 문장임을 알게 해주고 의미는 과거 특정 시점부터 현재까지 기간 동안에 발생하고 있는 일을 의미합니다. 

 

위에 예를 들은 I lost my mobile phone.은 현재와 관계없이 과거 어느 시점에 발생한 사건, 사실을 단순히 말하는 것입니다. 

 

 

과거시제와 현재완료시제는 의미하는 시간적 범위, 즉 과거시제는 지나간 특정한 때를, 현재완료는 그런 과거시점과 현재의 시점까지로 구분하면 매우 쉬운 개념입니다. 단지 현재완료시제가 우리말에는 없는 것이기 때문에 조금 혼란스러울 수 있는 표현이지만 결코 어려울 수 없는 내용이죠.

 

 

 

 

현재완료시제 사용 이유

 

그러면 영어에서는 왜 현재완료시제, 엄밀히 말하면 완료시제가 있는 것일까요? 과거완료도 있고 미래완료도 있죠. 왜 완료시제를 쓰는 것일까요?

 

완료시제를 쓰는 것은 말을 적게 하기 위한 것입니다. 적게 한다는 의미는 문장 2개를 이야기 할 것을 하나로 이야기해서 말하는 시간을 줄이는 것입니다. 

 

현재완료시제로 쓰인 I have lost my mobile phone.문장은 다음과 같이 과거문장과 현재문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입니다. 

 

I have lost my mobile phone. = I lost my mobile phone.+ I don't have it now.

 

I lost my mobile phone. + I don't have it now.  이 두 문장을 한 문장으로 나타내면 I lost my mobile phone, so I don't have it now.입니다. 두 문장 각각으로 볼 때 총 단어는 10개인데 한 문장으로 결합하면서  so를 추가하니 단어수가 11개가 됩니다. so 다음에 I는 생략할 수 있다고 해도 단어 개수는 10개로 문장이 각각 일 때와 같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현재완료시제를 사용한 문장을 보면, I have lost my mobile phone.에서 단어 수는 6개이고 의미는 과거에 잃어버려서 현재 핸드폰이 없다는 것이기 때문에 말을 적게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고, 말을 표현하는 시간도 절약이 되는 것입니다. 

 

이것이 영어에서 완료시제를 사용하는 이유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