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관계대명사 한정적 용법과 계속적 용법

by 입시프로 2024. 5. 27.
반응형

관계대명사 한정적 용법과 계속적 용법은 매우 다른 뜻의 차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확하게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영어라는 것이 언어이기 때문에 그 사용법에 대한 원리만 확실하게 알고 있으면 매우 쉬울 수 있는데 관계대명사 한정적 용법과 계속적 용법도 그 간단한 원리를 모르면 쉬운 문장도 엉뚱하게 해석을 하게 됩니다. 

 

 

목차

관계대명사 한정적 용법

관계대명사 계속적 용법

관계대명사 조심 사항

 

 

 

 

 

 

관계대명사 한정적 용법

 

예문을 통해서 관계 대명사 한정적 용법부터 보겠습니다. 

 

그녀는 딸이 둘 있다. 

She has two daughters.

 

그 딸 둘은 간호사이다.

The two daughters are nurses.

 

한 문장으로 만들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 

She has two daughters. + The two daughters are nurses.

공통명사는 two daughters이므로, 즉 선행사가 사람이므로 두 번째 문자읭  the two daughters를 who로 변경합니다. 

She has two daughters. + who are nurses.

 

그녀는 간호사인 두 딸이 있다. 

She has two daughters who are nurses.

-> who are nurses는 관계대명사 who로 이끌리면서 선행사 two daughters를 꾸며주고 있습니다. 

-> 이렇게 관계대명사가 쓰인 것을 한정적 용법이라고 합니다. 

 

 

 

관계대명사 계속적 용법

 

계속적 용법은 간단히 설명하면 똑같은 문장인데 다음과 같이 콤마(,)가 관계대명사 앞에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She has two daughters, who are nurses.

                             (여기 콤마 보이시죠)

-> 이렇게 관계대명사 앞에 콤마가 있을 때는 문장 해석을 콤마 앞에서부터 해야 합니다. 

-> 그녀는 두 딸이 있는데 그들은 간호사들이다. 딸이 둘 있는데 둘 다 간호사가 되었다는 의미입니다.

-> 두 딸 말고는 자식이 없는 것입니다.

 

그런데 She has two daughters who are nurses. 관계대명사가 한정적 용법으로 쓰인 이 문장은 그녀는 간호사가 된 두 딸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로 간호사가 아닌 다른 딸이나 아들도 있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관계대명사 앞에 콤마가 있고 없고가 문장에서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지 확실히 구분이 되시죠?

 

다른 예문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I bought the new laptop, which is less than a month old.

-> 관계대명사 앞에 콤마(,)가 있으므로 앞에서부터 해석을 합니다. 

-> 나는 새 노트북을 샀는데 그것은 한달도 안된 것이다. 

 

관계대명사 계속적 용법에서 콤마 다음 관계대명사로 시작되는 내용은 부연설명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또한 계속적 용법에서 관계대명사가 앞 문장 전체를 받는 경우고 있습니다. 

He turned out to be a liar, which made ma furious.

그가 거짓말장이로 판명되었는데 그것은 나를 화나게 했다. 

-> 여기서 그것은 '그가 거짓말장이로 판명된 것'으로 앞 문장 전체를 가리킵니다. 

 

 

 

 

관계대명사 조심 사항

 

한정적 용법에서는 관계대명사 who나 which는 관계대명사 that으로 바꿔서 표시 할 수 있지만 관계대명사 계속적 용법에서는 who나 which를 that으로 변경하는 것은 불가합니다. 그래서 관계대명사 that 앞에는 콤마(,)를 같이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것입니다.  

 

She has two daughters who are nurses. (관계대명사 한정적 용법)

-> She has two daughters that are nurses. (O)

She has two daughters, who are nurses. (관계대명사 계속적 용법)

>  She has two daughters, that are nurses. (X)

 

그리고 계속적 용법으로 쓰이는 관계대명사는 어떤 경우에도 생략할 수 없습니다. 

 

나는 그 소년을 발견했다. 엄마는 그 소년을 찾고 있었다. 

위 두 문장을 한 문장으로 결합하면 나는 엄마가 찾고 있는 그 소년을 발견했다가 됩니다. 

 

I found the boy. My mom was looking for the boy.

공통명사는 th boy이기 때문에 뒤에 the boy를 관계대명사  whom을 바꿉니다., 

공통명사가 사람이고 목적격이기 때문에 whom으로 사용합니다. 

I found the boy + my mom was looking for whom.

 

-> I found the boy whom my mom was looking for.

 

 그런데 만약에 하나로 결합한 문장이 다음과 같이 관계대명사 whom 앞에 콤마(,)가 있으면 계속적 용법이 되는 것입니다. 

I found the boy, whom my mom was looking for.

여기서 중요한 문장은 콤마 앞 부분입니다. 

-> 내가 그 소년을 찾았다가 제일 중요한 내용이고 그런데 그소년은 엄마가 찾고 있는 중이었다는 것은 부연설명이 됩니다. 

 

관계대명사 한정적 용법에서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은 생략가능합니다.

-> I found the boy whom my mom was looking for. (O)

= I found the boy my mom was looking for. (O)

 

그러나 계속적 용법에서는 생략 불가능합니다. 

-> I found the boy, whom my mom was looking for. (O)

-> I found the boy, my mom was looking for. (X)

 

관계대명사 한정적 용법과 계속적 용법은 콤마 하나 차이가 있지만 해석은 전혀 다르게 될 수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예문으로 자세하게 살펴 보았습니다. 

반응형